반응형


참으로 레이드 구성은 이해가 어렵다고 하기 보다는 안 외워진다.

매번 물어볼때나 궁금할때 찾아보니 말이다...;;;


내 잘못이오...내 잘못이오..ㅠ
[출처] : http://blog.naver.com/jevida/140118943472



Raid Level

 

데이터 베이스의 성능은 쿼리를 얼만큼 효율적으로 잘 만드느냐!

옵티마이져를 얼마나 이해해서 최적의 수행경로를 찾느냐로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에 종속적이므로 하드웨어 성능 자체가 느리다면 아무리 튜닝을 해도 한계가 있기 마련입니다.

 컴퓨터에서 가장 느린 장치가 무엇일까요?

하드 디스크 입니다이번 시간은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 묶어서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RAIDReduna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의 약자로 값싼 디스크를 여러장 묶어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요구로1980년대 처음 등장하였습니다최근에는 디스크 가격이 고용량 저가격이 형성되면서 의미는 많이 퇴색해져 중복성과 성능향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RAID는 구성에 따라 총6가지(0, 1, 2, 3, 4, 5, 6)레벨로 나눌 수 있으며 레벨에 따라 신뢰성과 성능 향상을 나타냅니다.

 

RAID 0

2개 이상의 디스크를 사용하여 구성스트라이핑 모드.

장점같은 섹터에 병렬기록읽기/쓰기 향상.

단점디스크 장애시 복구 불능.

사용처:  중요하지 않는 데이터에 빠른 처리가 요구될 때 사용.

 


 

RAID 1

동일한Raid 볼륨으 추가적으로 구성 한 것미러링 모드

장점디스크 장애시 복구 가능읽기 성능 향상.(다중 스레드 사용시)

단점동일 데이터를 중복해서 써야하므로 쓰기 속도 느림.

사용처:  속도보다는 안정성을 추구하는 데이터에 적합전체용량의1/2 만 사용가능.

 

<v></v>

 

RAID 2

RAID 0의 장점을 사용하면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4개를 스트라이핑 모드 구성+ 3개의 패리티 체크 구성.

장점:  여러 개의 디스크 장애시 복구 가능.

단점볼륨 구성 단위가 크다.

 

<v></v>

 

 

 RAID 3

RAID2의 단점을 개선 한 모델하나의 볼륨에만 패리티 저장.

장점: RAID2보다 적은 볼륨 사용.(디스크 절약)

단점동일 위치 동시 장해시 복구 불능.

<v></v>

 

RAID 4

구성은RAID3와 동일단 저장 단위가RAID3는 바이트 단위. RAID4는 블록 단위.

<v></v>

 

 

RAID 5

RAID4의 단점을 개선 시킨 모델성능샹 효율을 위해 패리티 디스크들을 각 볼륨에 분할.

최소3개의 디스크 필요.

장점:  어느 정도 속도 보장.

단점다중 디스크 장애시 복구 불능. (1장 까지 장애 복구 가능)

<v></v>

 

RAID 6

RAID5에 비해 신뢰성에 기반을 둔 레벨패리티 디스크를 추가함으로써 동시 오류에 복구가 가능하도록 설계.

추가적인 패리티 기록을 위하여 속도가 느리다.

 

<v></v>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RAID레벨의 장점을 섞어 성능과 신뢰성 비용 효과를 보고 있다.

-       RAID 0+1

-       RAID 1 + 0

-       RAID 5 + 0

-       RAID 5+ 1

-       RAID 6 + 0

 

RAID Level Comparision (Adaptec 자료)

<v></v>

 

[출처] RAID LEVEL|작성자 SungWook Kang


반응형
반응형

[출처]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302&docId=63819461&qb=cmF3IGRldmljZQ==&enc=utf8§ion=kin&rank=3&sort=0&spq=0&pid=fIe7Og331yosssEVpKlssv--169396&sid=S6RJEjE8pEsAACHkFto


흔히 유닉스에서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억세스하는 방법에 따라 


블록디바이스(/dev/dsk) 와 로(RAW)디바이스(/dev/rdsk) 로 구분을 합니다.


단어 그대로 이해를 한다면 블록디바이스에 블록은 파일시스템의 블록을 말하는 겁니다.


즉 로디바이스위에 파일시스템이 얹어 있다고 보면 됩니다. 


OS 는 어플리케이션의 IO 요구에 따라 파일 시스템에서 읽어 오느냐 ,


로 디바이스(파일시스템 보다는 더 하위레벨)에서 읽어 오느냐가 억세스 방법에 의해서


차이가 있습니다.


로 디바이스는 파일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당현히 파일, 디렉토리, 억세스컨트롤 등을


어플리케이션에서 직접 관리 해야 합니다. 


로 디바이스를 데이타베이스에서 사용할 때 데이타 베이스는 자체적으로 블록과 익스텐트 등의


스토리지 관리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OS레벨에서의 물리적인 데이타 파일 관리만 하면 됩니다.


(데이타 베이스에서 로디바이스를 사용하더라도 물리적인 디바이스(디스크)에 데이타 파일형태로 위치해야


하기 때문에 볼륨매니저 같은 가상 스토리지 개념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디스크는 I/O 다음과 같은 패스를 가집니다.


Application<->Library Buffer<->Operation System Cache<->File System/Volume Manager<->Device


그런데 로디바이스의 패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Application<->Device



흔히 DBMS 를 컨피그할때 데이타 파일의 위치를 놓고 RAW 와 파일시스템 비교를 많이 하게 됩니다.


나름대로 장단점이 있어 쉽게 판단 할수는 없지만 파일관리측면에선 파일시스템이 성능면에서는 로 디바이스가 낫습니다.


DBMS 시스템에서 파일시스템을 사용 할 경우 DBMS 의 가 자체 IO버퍼를 설정 하기 때문에 


OS 의 파일시스템 캐시가 필요 없습니다. 이런 파일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솔라리스의 Direct I/O , 베리타스 파일시스템등


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더블 버퍼링 를 막음으로써 OS는 메모리 파일시스템 캐싱을 위한 메모리 매니지먼트가 필요없어지고,


DBMS 에서만 버퍼링을 하므로 메모리를 덜 소모하게 됩니다. 주소 변환을 할 필요가 없으니 캐시의 억세스 속도도 빨라지겠죠.


RAW의 장점을 하나더 말씀드리면 KAIO(kernal async IO) 입니다.


위의 IO패스에서 보듯이 로디바이스는 IO요구가 발생될때 유저라이브러리를 사용 하지 않고 커널 레벨에서 IO 가 이루어 지므로 


명령이 단순해 져서 결과적으론 CPU를 덜 사용하게 됩니다.


--------------------------------------------------------------------------------------------------


[출처] http://boeok.tistory.com/entry/File-System-%EA%B3%BC-Raw-Device%EC%9D%98-%EC%B0%A8%EC%9D%B4


File system                                    

 

- File system이란?

 

파일시스템(filesystem)이란 운영체제가 파티션이나 디스크에 파일들이 연속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고 자료구조이다. 즉, 파일들이 디스크상에서 구성되는 방식이다. 파일시스템이라는 말은 파일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파티션이나 디스크를 가리킬 때나, 파일 시스템의 형식을 가리킬 때 사용되기도 한다. file system은 mount란 단계를 거쳐서 특정 block device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 File system의 구조

 

partition

partition

partition

Disk drive

 

 

Boot block

Super block

Inode list

Data block

File system

 

 boot block : file system의 처음에 위치. operation system이 초기화되거나 부팅될 때, 필요한 bootstrap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시스템이 부팅되기 위해서는 단지 하나의 부트 블록이 필요하며, 모든 시스템에는 부트 블록이 있어야 한다.

 super block : filesystem에 대한 모든 중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곳이다. file system이 얼마나 큰지, 얼마나 많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지, 자유 저장공간을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지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 들어가는 정보는 파일시스템에 의존한다.

 inode list : 파일 시스템이라는 것은 inode(index node)라는 형태의 정보로 저장된다. inode는 항목(파일, 디렉토리, 심볼릭 링크) 자체의 이름을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파일시스템을 저장한다. 파일이름은 디렉토리에 저장되며 이는inode의 포인터로 이용된다. Inode list 는 inode들의 리스트이며, 관리자에 의해 그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파일 시스템의 모든 파일이나 디렉토리는 각기 단 하나의 inode에 의하여 표현된다. 리스트에서 한 inode는 root inode로 file system을 mount 시킨 이후에 접근 가능하게 된다.

 data block : 파일 데이터와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부분이다.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한번에, 단지 하나의 파일에만 할당될 수 있다.

 

 

 

Raw Device                                    

- Raw Device란?

 

Raw device는 file system이 set up 되지 않은 disk drive이다. Raw Device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주로 자신들의 캐싱 시스템을 갖고 있는 경우에 서비스 프로그램에서 많이 사용한다. 운영체제의 캐싱 시스템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지만 데이터베이스 등에서는 이미 자신의 방식으로 캐싱을 하기 때문에 두번의 캐싱으로 인해 부하가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부분을 사용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raw device를 사용한다.또한 두 대 이상의 machine과 이 machine들이 공유하고 있는 disk로 구성되는 OPS의 경우, shared disk를 os file system으로 구성하면 한쪽에서만 이를 볼 수 있고 동시에 access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raw device를 사용해야 하며, raw device를 사용하면 os를 거치지 않으므로 보다 빠른 access를 기대할 수 있다.

 

 

• 장점

1. Raw Device는 os에 mount되지 않은 디스크이므로 os kernel에 의해 buffering이 되지 않고 user buffer와 device간에 직접 data가 전송되므로 disk I/O 성능이 향상되고 cpu overhead가 감소된다.

2. os file system의 overhead를 피할 수 있다.

3. os buffer size를 줄일 수 있다.

 

• 단점

1. setup 하기 어렵고 backup 절차가 file system 보다 복잡하다.

2. raw device와 os file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os file은 ulimit parameter의 size 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ulimit를 초과하는 table들은 raw device를 사용하여야 한다.

3. os는 cylinder 0을 보호하지 못하기 때문에 cylinder 0에서 시작하면 안된다.

 

  

- raw device 운영시 주의사항

² raw device/dev directory 밑에 c type (character special file)으로 나타난다. 
예>
crw-rw----   1 oraerp01   dba         64 0x090001 May 15 14:07 rlvabmd01.dbf
crw-rw----   1 oraerp01   dba         64 0x090002 May 15 14:07 rlvabmx01.dbf
crw-rw----   1 oraerp01   dba         64 0x090003 May 15 14:07 rlvahld01.dbf

 

² logical volume 확인

lvdisplay v lvpath

예> THVSD01:/dev/vgdbmst2> lvdisplay -v lvctrl1

 

² partitoin 개수 및 size 결정

oracle data file : device = 1 : 1

device size = oracle file size + a (a : 대략 1M 정도. header 정보 보관)

향후 DB가 늘어날 것을 감안하여 size 별 raw device를 미리 생성해둔다.

 

² file system의 file을 raw device 로 옮기는 방법 : dd if = file명 of = raw device명>
dd bs=20480 if=/DBMS/orarac/oradata/RAC/rlvsystem01.dbf  of=/dev/vgdbmsg1/rlvsystem01.dbf

dd bs=20480 if=/DBMS/orarac/oradata/RAC/rlvtemp01.tmf  of=/dev/vgdbmsg1/rlvtemp01.tmf

dd bs=20480 if=/DBMS/orarac/oradata/RAC/rlvtools01.dbf  of=/dev/vgdbmsg1/rlvtools01.dbf

 

² raw device를 file로 copy하는 방법 : dd if = raw device명 of = file명 >
dd bs=20480 if=/dev/vgdbmsg1/rlvsystem01.dbf  of=/DBMS/orarac/oradata/RAC/rlvsystem01.dbf

dd bs=20480 if=/dev/vgdbmsg1/rlvtemp01.tmf  of=/DBMS/orarac/oradata/RAC/rlvtemp01.tmf

dd bs=20480 if=/dev/vgdbmsg1/rlvtools01.dbf  of=/DBMS/orarac/oradata/RAC/rlvtools01.dbf

반응형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Raid Level  (0) 2016.08.23
[펌] VMware USB 부팅 하기... 두번째 방법...  (2) 2016.03.17
[펌] FTP의 Active Mode 와 Passive Mode  (0) 2016.03.14
[펌] PUTTY 화면 설정  (0) 2016.02.02
[사이트 참조][Windows] FTP 설정  (0) 2015.12.29
반응형


Window는 가끔 VM에 설치하는 부분이라 그때마다 ISO로 했는데, 한번 만들어 놓은 USB가 있어서

아래의 방법으로 빠르게 설치할 수 있었다.

중간에 physical Disk 부분에서 USB 와 연결되 있는 Device를 찾지 못하였는데,

VM Ware 업데이트 진행 후에는 정상적으로 목록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VM Version (10.0.7 build-2844087)


-------------------------------------------------------------------------------

[출처] http://prolite.tistory.com/166

[2017-10-31] 변경

http://prolite.tistory.com/1130

원작자 요청이 있어서 삭제후 출처만 남겼습니다!

해당 블로그로 확인해 보세요!

반응형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Raid Level  (0) 2016.08.23
[펌][OS] Raw Device 와 File System 차이  (0) 2016.04.04
[펌] FTP의 Active Mode 와 Passive Mode  (0) 2016.03.14
[펌] PUTTY 화면 설정  (0) 2016.02.02
[사이트 참조][Windows] FTP 설정  (0) 2015.12.29
반응형

[펌] http://mintnlatte.tistory.com/407


■ FTP는 다른 서비스와는 달리 Active Mode와 Passive Mode가 존재한다.


- 웹브라우저들은 일반적으로 Passive Mode로 설정되어 있고, 알FTP나 WS-FTP, CuteFTP와 같은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은 일반적으로 Active Mode가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1) FTP Active Mode의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21번 포트로 접속 후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두 번째 포트를 서버에 알려준다.

- 서버는 클라이언트로 서버로 부터 Ack를 보내고, 서버의 20번 포트는 클라이언트가 알려준 두 번째 포트로 접속을 시도한다.


○ Active Mode 의 문제점

: 일반적인 TCP/IP의 특징인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가 클라이언에 접속을 시도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만약 클라이언트 PC등에 방화벽이 설치되어 있거나 FTP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공유기 등을 사용하여 외부에서의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다면 세 번째 프로세스가 작동하지 않게 되어 FTP 접속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FTP 접속은 되지만 이후 데이터 목록을 받아오지 못하여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Active Mode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측 21번 포트로 접속시도 하고 데이터 포트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



(2)  FTP Passive Mode의 동작 방식

○ Active Mode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한으로 디자인된 Passive Mode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21번 포트로 접속을 시도하면, 서버에서는 사용할 두번째 포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준다.

- 클라이언트는 다른 포트를 열어 서버가 알려준 이 포트로 접속을 시도한다. 


○ Passive Mode 의 문제점

: Passive 모드에서는 두 번째 data포트로서 Active 모드가 사용했던 20번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1024 이후의 임의의 비 특권 포트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Passive 모드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연결을 시도하는 Active 모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는 했지만, 서버의 비 특권포트(1024 ~ 65535)를 방화벽에서 모두 열어 두어야 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되었다.그러나 wu-ftp나 proftpd등 대부분의 ftp 데몬에서는 클라이언트가 Passive Mode로 접속 시 사용할 수 있는 포트를 제한설정 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므로 이의 문제점을 미봉책이나마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 있다.

 

Passive 모드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쪽 21번 포트로 접속 시도 하고 데이터 포트도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임의의 포트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받아오는 방식



반응형
반응형

[출처] http://ooz.co.kr/158


Putty 프로그램을 사용하다 보면 종종 어떤 서버에서는 한글이 깨져서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Putty 가 기본으로 UTF-8 문자 집합(Character Set)을 사용하는데, 서버의 locale 인코딩 값이 UTF-8 이 아닌 경우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보통 한국어로 된 리눅스 서버를 운용한다면 아마 서버 locale이 EUC-KR 문자 집합으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서버 인코딩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서버에 접속하여 locale 명령어를 실행하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서버에 접속하여 안내 문구가 나올만한 명령어를 입력해봅니다.

 

[aaa@localhost ~]$ cd aabbccddee (존재하지 않는 디렉토리)

 

 

무언가 메시지가 떴는데, 전혀 알아볼 수가 없네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문자 집합을 서로 맞추어 주면 될 것 같은데요.

서버를 UTF-8 환경으로 변경해 줄 수도 있지만, 계속 사용해왔던 서버의 환경을 변경하는 것은 조금 꺼려지기도 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굳이 그럴 필요도 없이 Putty의 환경을 변경함으로써, 간단히 해결될 문제이기도 하지요.

 

단순히 Putty 의 문자 집합을 변경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방법1) 가장 쉬운 방법! - Putty 의 설정 화면에서 문자 집합 설정.

 

 PuTTY를 실행시킵니다!!

 접속하려는 Host Name을 입력 또는 하단의 저장 목록에서 로드(Load) 합니다.

 그리고 좌측 트리 메뉴에서 Window - Translation 을 선택합니다.

 

 

 

아하! 여기가 접속 환경에 맞는 문자 집합을 설정할 수 있는 곳이군요!

 

Remote character set 선택 박스에서 서버의 문자 집합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런데 EUC-KR 은 찾아봐도 없군요. 그럼 EUC-KR 과 호환이 되는 문자 집합이 있을까요?

네 있습니다. CP949 인코딩은 EUC-KR 의 확장된 버전으로 하위 호환성을 가지고 있는 문자 집합니다.

 

 

여기서 CP949를 선택하여 주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 끝 -

 

 

앗!! 이런.. 제 PuTTY에 CP949 문자 집합 또한 없습니다.

강제로 CP949를 입력하고, 접속해도 제대로 한글이 보이지 않습니다.

 

 

방법2) 다음 방법! - Putty 의 레지스트리에서 FontCharSet 설정하기

그러면 이제 레지스트리를 건드릴 차례입니다. 해당 문자 집합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트리에 강제로 우리가 원하는 문자 집합을 설정해 보겠습니다.

 

윈도우 하단의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실행] - regedit.exe 를 입력한 후, 실행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실행됩니다.

 

좌측 트리 메뉴에서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SimonTatham - Putty - Sessions]

 

로 들어갑니다.

 

Sessions 내에는 Putty에 등록된 서버 접속 정보 목록들이 있습니다.

한글이 깨지는 서버의 세션 정보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우측 메뉴에서 FontCharSet 항목을 확인합니다. 값이 0x00000000 (0) 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를 16진수로 81(0x81) 또는 10진수로 129 를 입력한 후, 확인을 누릅니다.

 

 

0x81 은 한글의 Charset 을 의미하는 값입니다.

 

아래와 같이 FontCharSet 이 0x00000081 (129) 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제 다시 PuTTY로 접속해 보겠습니다.!!

문제가 해결 되었습니다. - 끝-

 

아니 아직도 안된다구요!!!!?!?!?!??!

 

 

방법3) 마지막 방법! - Putty 의 레지스트리에서 LineCodePage 설정하기

 

 Putty에는 CharacterSet을 지정할 수 있는 또다른 항목이 있습니다.

 

 

 

 LineCodePage 인데, 값이 아마 기본 인코딩을 사용한다는 Default 값으로 설정되어 있던지, 또는 공란으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는 실제 문자 집합 명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LineCodePage 의 값을 CP949 로 설정합니다.

 

 

 

 값이 정상적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이제 서버에 다시 접속해 보겠습니다.

 

 

 

 드디어 한글이 보입니다!! (이 방법까지 썼는데, 한글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면 서버가 한글이 아닌 다른 인코딩으로 되어 있는 경우일 것입니다. 서버에 맞는 문자 집합만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단, 문자 집합이 한글이 아닌 서버겠죠?^^)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 정말 끝! -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6.6] FTP 설정  (1) 2016.02.17
mkfs 로 생성 시 오류  (0) 2015.10.15
반응형

오랜만에 CentOS 를 설치 후 몇번의 네트워크 삽질 후 

Local host 에서 putty 로 접속을 마쳤다.


FTP도 필요해서 ftp 설치를 했더니 정리가 필요해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본다.


FTP 설치

yum -y install vsftp ftp




FTP 설정

vi /etc/vsftpd/vsftpd.conf


...
# Allow anonymous FTP? (Beware - allowed by default if you comment this out).
anonymous_enable=YES
...

pam_service_name=vsftpd
userlist_enable=YES
tcp_wrappers=YES


방화벽 허용(20, 21 포트 허용)

맨아래에 추가

...

-A INPUT -m state --state NEW -m udp -p udp --dport 20 -j ACCEPT

-A INPUT -m state --state NEW -m udp -p udp --dport 21 -j ACCEPT




FTP 를 항상 시작 하도록 설정

[root@localhost ~]# chkconfig --level 2345 vsftpd on


root 로 접속 하기 위해서 아래 파일들에서 root 삭제

[root@localhost ~]# ls /etc/vsftpd/

ftpusers                user_list               vsftpd.conf             vsftpd_conf_migrate.sh


아래 2개의 파일에서 vi로 열어 root 삭제


[root@localhost ~]# vi /etc/vsftpd/ftpusers

[root@localhost ~]# vi /etc/vsftpd/user_list


서비스 재시작

방화벽 설정 

[root@localhost ~]# vi /etc/sysconfig/iptables


ftp 재시작

[root@localhost ~]# service vsftpd restart





500 OOPS 대처 방안

>root 로 FTP 접속 시 아래와 같이 접속 오류가 발생


응답: 331 Please specify the password.

명령: PASS ******

응답: 500 OOPS: cannot change directory:/root

오류: Critical error: 서버에 연결하지 못함


위와 같이 뜨면 아래와 같이 확인 후 설정 변경

[root@localhost ~]# getsebool -a | grep ftp

allow_ftpd_anon_write --> off

allow_ftpd_full_access --> off

allow_ftpd_use_cifs --> off

allow_ftpd_use_nfs --> off

ftp_home_dir --> off

ftpd_connect_db --> off

ftpd_use_fusefs --> off

ftpd_use_passive_mode --> off

httpd_enable_ftp_server --> off

tftp_anon_write --> off

tftp_use_cifs --> off

tftp_use_nfs --> off


[root@localhost ~]# setsebool allow_ftpd_full_access on

[root@localhost ~]# service vsftpd restart



[참고]

http://matthew.kr/centos-%EC%9D%98-vsftpd-%EC%A0%91%EC%86%8D%EC%8B%9C-500-oops-cannot-change-directoryroot-%EC%97%90%EB%9F%AC/


반응형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PuTTY 한글 깨짐 문제 해결하기  (1) 2016.02.23
mkfs 로 생성 시 오류  (0) 2015.10.15
반응형

[출처]

http://hajadc.tistory.com/65


PUTTY는 원격으로 리눅스 쉘을 이용하는 ssh를 이용하는데 있어 가장 흔히 이용되는 프로그램이다. 강력한 성능에 실행파일 하나로 설치 안해도 되는 포터블 버전도 제공하기 때문에 정말 자주, 많이 이용되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기본 설정대로 이용시에 약간의 불편함이 있어 그를 해결하기 위해 내가 사용하는 설정을 공개한다.

1. 버퍼크기.
라인 버퍼는 커맨드를 실행했을 때 화면상에 보여지는 줄의 수를 말한다. 만약 라인 버퍼가 작다면, 여러줄 출력되는 명령어 실행시에 화면을 스크롤해서 보면 일정 부분이 짤려 보이게 된다.  기본 설정에서는 200줄로 한정돼 있으므로 200줄 이상 화면에 출력된다면, 실행 도중에 프린트 되는 내용의 일부가 짤리고 최종 200줄만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1만줄 정도로 쓰고 있다.

PUTTY 설정 화면에서 Window를 선택하면 오른편에 lines of scrollback 항목이 있다. 거기에 200을 바꿔주면 된다.



2. 폰트 설정.
쉘을 쓰다보면 쉽게 혼동되는 글자들이 있다. 예를 들어, 소문자 엘, 대문자 아이, 숫자 일 같은 것이나, 숫자 영, 대문자 오 같은 것이 있다. 이런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 프로그래머를 위한 폰트에 대한 많은 문서들이 인터넷에 있다.

PUTTY 설정 화면에서 Window > Appearance로 들어가면 폰트 설정하는 화면이 있다.


여기서 Change를 클릭해서 새로 열리는 창에서 폰트를 원하는 대로 바꿔주면 된다.  그리고, ClearType을 체크해주면 보다 선명한 폰트를 볼 수 있고, Gap between text and window edge를 3으로 주게 되면, PUTTY 창 프레임에 바로 붙어 보이던 글자들이 약간의 간격을 주게 되어 보다 읽기 쉽게 된다.

3. 문자 인코딩.
영어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간혹 한글 같은 다른 문자를 이용하게 되면 문자가 깨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런 경우를 막기 위해서는 인코딩을 바꿔줘야 한다.

Window > Translation으로 들어가면 오른편에 Character set translation 부분에서 인코딩을 UTF-8으로 바꿔주면 된다.


4. 화면 복사와 붙이기 방식.
PUTTY에서 출력되는 부분을 마우스를 이용해 복사하거나 붙여넣는 방식을 바꿔준다.  윈도우가 편한 사용자는 윈도우 스타일대로 드래그와 오른쪽 버튼으로 설정 메뉴를 불러올 수도 있고, 리눅스가 편한 사용자는 리눅스 터미널처럼 드래그하면 복사가 되고 가운데 버튼이 붙여넣기가 된다.

Window > Selection에서 Action of mouse use에서 윈도우나 xterm 등으로 설정 가능하다.


5. 색깔 설정.
가장 중요한 것이다. 내가 설정을 바꾸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다. 파란색이 너무 어두워서 검은 배경화면과 잘 구별이 되지 않아 눈이 많이 피로해진다. 그래서 파란색을 조금 밝게 바꿔준다. 여기서 선택하는 색은 마음대로 바꿔도 무관하다.

Window > Colours에서 Select a colour to adjust 부분에서 ANSI blue와 ANSI blue bold 색을 바꿔준다.


6. 설정 저장.
이 모든 설정을 저장해야 나중에도 사용 가능하다.

Session에서 오른쪽에 Default Settings에 저장을 해주면 된다.


반응형
반응형

FTP 설정이 필요할 것 같아서 검색하여 첨부해 본다.


예전에는 자주 사용했지만 현재는 잘 사용안하다 보니, 잊어버렸다.

생소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다시 하라고 하면 막막하니 필요시에 참고 사항으로 보면 좋을 듯 싶다.


http://loopback.tistory.com/entry/Windows-2008-R2-IIS-FTP-%EC%84%A4%EC%B9%98-%EB%B0%8F-%EC%84%A4%EC%A0%95-%EB%B0%A9%EB%B2%95

반응형
반응형

가끔 OS patch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때마다 매번 검색 하기도...그렇다고 외우면 자꾸 잊고..쓸일도 없고...


노트의 필요성...


$instfix -i -k "IY68975"

    All filesets for IY68975 were found.

<-- 현재 설치 되어 있는 패치


$instfix -i -k "IZ41855"

    There was no data for IZ41855 in the fix database.

<--현재 설치 되어 있지 않는 패치





Usage: instfix [-R Path] [-T [-M platform]] [-s string] 

          [ -k keyword | -f file ] [-d device] [-S] 

          [-p | [-i [-c] [-q] [-t type] [-v] [-F]]] [-a] 


Function: Installs or queries filesets associated with keywords or fixes.


        -a Display the symptom text (can be combined with -i, -k, or -f).

        -c Colon-separated output for use with -i. Output includes keyword

           name, fileset name, required level, installed level, status, and

           abstract.  Status values are < (down level), = (correct level),

           + (superseded), and ! (not installed).

        -d Input device (not valid with flags -i or -a).

        -F Returns failure unless all filesets associated with the fix

           are installed.

        -f Input file containing keywords or fixes. Use '-' for standard input.

           The -T option produces a suitable input file format for -f.

        -i Use with -k or -f option to display whether specified fixes or 

           keywords are installed.  Installation is not attempted.

           If neither -k nor -f is specified, all known fixes are displayed.

        -k Install filesets for a keyword or fix.

        -M Use with -T option to display information for fixes present

           on the media that have to do with the platform specified.

        -p Use with -k or -f to print filesets associated with keywords.

           Installation is not attempted when -p is used.

        -q Quiet option for use with -i.  If -c is specified, no heading is 

           displayed.  Otherwise, no output is displayed.

        -R User Specified Install Location

        -S Suppress multi-volume processing.

        -s Search for and display fixes on media containing a specified string.

        -T Display fix information for complete fixes present on the media.

        -t Use with -i option to limit search to a given type.  Currently

           valid types are 'f' (fix) and 'p' (preventive maintenance).

        -v Verbose option for use with -i.  Gives information about each

           fileset associated with a fix or keyword.

           to the environment provided.


반응형

'OS > A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pas Memory  (0) 2015.08.25
반응형

이놈의 삽질은..

한번 시작하면 몇일을 가니..

정말 OS 담당자가 짜잔 하고 구축 해 놨으면 좋겠다..


몇일 전 Network- Interconnect IP 가 끊어 지는 경우 CSS 데몬이 체크하다가 데이터 정합성 유지를 위해 한쪽 노드의 OS 를 리부팅 하는 경우가 생겼다. (주로 slave쪽을 재기동)


하지만, 네트워크 상에서는 어떠한 에러 로그도 없었다고 하니..

테스트를 해서 증명할 수 밖에..


먼저 나는 10g 에서 하고 싶었는데..10g RAC 구축해 놓은 것이 없어서

어쩔수 없이 11g 에서 테스트를 진행할 수 밖에 없었다.


각설하고..10g File system 구축은 AIX 에서 몇번 했지만 실질적으로 테스트는 11g로 많이 진행 하였기 때문에 이참에 하나 구축할 필요가 있었다.


여러번의 삽질 끝에 완료는 했지만 삽질의 주 요인을 하나 찾아서 공유해 본다.


먼저 10g ocfs 설치는 가급적 yum 으로 진행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걸로도 삽질하다가 포기한 적이 있기에....

그리고 ocfs2 설정은 다른 블로그도 많기에 아래 부분만 확인 잘 했으면 한다.


설정 도중 

service o2cb configure 한다.

# service o2cb configure

 

Configuring the O2CB driver.

 

This will configure the on-boot properties of the O2CB driver.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loaded on

boot.  The current values will be shown in brackets ('[]').  Hitting

ENTER without typing an answer will keep that current value.  Ctrl-C

will abort.

 

Load O2CB driver on boot (y/n) [n]: y

Cluster stack backing O2CB [o2cb]: 

Cluster to start on boot (Enter "none" to clear) [ocfs2]: ocfscluster1

Specify heartbeat dead threshold (>=7) [31]: 

Specify network idle timeout in ms (>=5000) [30000]: 

Specify network keepalive delay in ms (>=1000) [2000]: 

Specify network reconnect delay in ms (>=2000) [2000]: 

Writing O2CB configuration: OK

Loading filesystem "configfs": OK

Mounting configfs filesystem at /sys/kernel/config: OK

Loading stack plugin "o2cb": OK

Loading filesystem "ocfs2_dlmfs": OK

Creating directory '/dlm': OK

Mounting ocfs2_dlmfs filesystem at /dlm: OK

Setting cluster stack "o2cb": OK

Checking O2CB cluster configuration : Failed


위에서 빨간색 부분은 클러스터 명이다.


# o2cb_ctl -C -n ocfscluster1 -t cluster -a name=ocfscluster1


등록한 이후 아래와 같이 각 노드를 클러스터에 등록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내가 잘못한 부분이다.


# o2cb_ctl -C -n ocfsrac1 -t node -a number=0 -a ip_address=192.168.131.100 -a ip_port=7777 -a cluster=ocfscluster1

# o2cb_ctl -C -n ocfsrac2 -t node -a number=1 -a ip_address=192.168.131.110 -a ip_port=7777 -a cluster=ocfscluster1


파란색 부분이 자기 자신에 맞게 설정해 줘야 하는 부분이다.


즉, 다른 부분은 잘못 설정해도 오류가 나지만 ocfsrac1 , ocfsrac2 는 설정 잘못해도 오류가 생기지 않는다.(Host명을 잘못 설정해도 오류가 날일 없겠지...=_=;;)


다른 부분 에러는 내가 판단해서 잘 설정했지만 host 명을 따라 하다 보니 잘못 적은 것이다..에러가 없으니 난 완료된 줄 알았다.


하지만 service o2cb status 를 하게되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rac1:/root>service o2cb status

Driver for "configfs": Loaded

Filesystem "configfs": Mounted

Stack glue driver: Loaded

Stack plugin "o2cb": Loaded

Driver for "ocfs2_dlmfs": Loaded

Filesystem "ocfs2_dlmfs": Mounted

Checking O2CB cluster "ocfscluster1": Offline


먼 짓을 해도 계속 offline 만 뜬다.. 나머지는 정상적인데...

다른 부분도 추가해서 첨부하자면..


rac1:/root>service o2cb start ocfscluster1

Setting cluster stack "o2cb": OK

Registering O2CB cluster "ocfscluster1": OK

Setting O2CB cluster timeouts : OK

-------------------------------------------------------
rac1:/root>/etc/init.d/o2cb status
Driver for "configfs": Loaded
Filesystem "configfs": Mounted
Stack glue driver: Loaded
Stack plugin "o2cb": Loaded
Driver for "ocfs2_dlmfs": Loaded
Filesystem "ocfs2_dlmfs": Mounted
-------------------------------------------------------
rac1:/root>vi /etc/fstab

LABEL=/                 /                       ext3    defaults        1 1
LABEL=/app              /app                    ext3    defaults        1 2
LABEL=/var              /var                    ext3    defaults        1 2
LABEL=/home             /home                   ext3    defaults        1 2
LABEL=/boot             /boot                   ext3    defaults        1 2
tmpfs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pts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sysfs                   /sys                    sysfs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LABEL=SWAP-sda5         swap                    swap    defaults        0 0
/dev/sdb1               /oradata01               ocfs2   _netdev,datavolume,nointr      0 0


전혀 문제가 없이 나온다.

결국 아래에서 수정 후 정상적으로 공유가 되었다.



즉!!name 에는 자신의 host 명을 설정해 줘야한다!!!


ocfs 설정 참고 자료

http://db.necoaki.net/145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