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영체제(OS)에서 제공되는 기본적인 기능들을 제공.
os.getcwd(), os.chdir(path) | |
chdir() 함수는 현재 작업 디렉터리 위치를 변경하며, getcwd()함수는 현재 작업 디렉터리의 위치를 가져올 때 쓰입니다. | |
>>> getcwd() 'C:\\Python3' >>> chdir('Tools') >>> getcwd() 'C:\\Python3\\Tools' |
os.access(path, mode) | |||||||||||
입력받은 <path>에 대해서 <mode>에 해당하는 작업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반환합니다.
| |||||||||||
>>> access('.', F_OK) # existence True >>> access('.', W_OK | X_OK | R_OK) # write, exec, read True |
os.listdir(path) | |
해당 경로(path)에 존재하는 파일과 디렉터리들의 리스트를 반환합니다. | |
>>> listdir('.') ['DLLs', 'Doc', 'include', 'Lib', 'libs', 'LICENSE.txt', 'NEWS.txt', 'python.exe', 'pythonw.exe', 'README.txt', 'tcl', 'Tools', 'w9xpopen.exe'] |
os.mkdir(path[, mode]) | |
<path>에 해당하는 디렉터리를 생성합니다. | |
>>> mkdir('test1') ['DLLs', 'Doc', 'include', 'Lib', 'libs', 'LICENSE.txt', 'NEWS.txt', 'python.exe', 'pythonw.exe', 'README.txt', 'tcl', 'test1', 'Tools', 'w9xpopen.exe'] |
os.makedirs(path[, mode]) | |
인자로 전달된 디렉터리를 재귀적으로 생성합니다. 이미 디렉터리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나 권한이 없어 생성할 수 없는 경우는 예외를 발생합니다. | |
>>> makedirs('test2/sub1/sub2/leaf') >>> listdir('test2/sub1/sub2') ['leaf'] >>> makedirs('test2/sub1/sub2/leaf') # 이미 존재하는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경우 예외 발생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pyshell#18>", line 1, in <module> makedirs('test2/sub1/sub2/leaf') File "C:\Dev\Python3\lib\os.py", line 152, in makedirs mkdir(name, mode) WindowsError: [Error 183] 파일이 이미 있으므로 만들 수 없습니다: 'test2/sub1/sub2/sub3' |
os.remove(path), os.unlink(path) | |
파일을 삭제 합니다. | |
>>> remove('test.txt') >>> unilnk('test.txt') |
os.rmdir(path) | |
디렉터리를 삭제합니다. 단, 디렉터리는 비어있어야만 합니다. | |
>>> mkdir('test1') |
os.removedirs(path) | |
디렉터리를 연달아 삭제합니다.
※ 만약 '윈도우 탐색기'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으로 'sub1' 디렉터리를 보고 있다면, removedirs() 함수로 'sub1' 디렉터리를 삭제할 수 없습니다. 탐색기를 종료하고 수행해야 합니다. | |
# leaf 디렉토리 삭제에 성공하면 차례로 sub2, sub1, test2의 순서로 삭제 >>> removedirs('test2/sub1/sub2/leaf') |
os.rename(src, dst) | |
src를 dst로 이름을 변경하거나 이동합니다.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해서 모두 적용 됩니다. | |
>>> rename('text.txt', 'renamed.txt') |
os.renames(src, dst) | |
src를 dst로 이름을 변경하거나 이동합니다. rename과 다른점은 이동 시에 필요한 디렉터리들을 자동으로 생성한다는 것입니다. | |
>>> renames('renamed.txt', 'test_renames/moved.txt') >>> listdir('test_renames') ['moved.txt'] |
os.stat(path) | |
경로에 해당하는 정보를 얻어옵니다. 아래의 예제와 같이 순차적으로 protection, inode, device, link, user id, group id, size, last access time, last modified time, last change time 등을 나타냅니다. (stat() 함수 결과 중 일부는 유닉스/리눅스 시스템에만 해당되는 것도 있습니다) | |
>>> stat('python.exe') nt.stat_result(st_mode=33279, st_ino=281474976762468, st_dev=0, st_nlink=1, st_uid=0, st_gid=0, st_size=26624, st_atime=1321851747, st_mtime=1315097496, st_ctime=1315097496) |
os.utime(path, times) | |
경로에 해당하는 파일에 대해 액세스 시간(access time)과 수정 시간(modified time)을 <times>로 수정합니다. <times>가 None일 경우는 현재 시간으로 수정합니다. (유닉스의 touch 명령어와 유사) | |
>>> stat('readme.txt') nt.stat_result(st_mode=33206, st_ino=281474976762465, st_dev=0, st_nlink=1, st_uid=0, st_gid=0, st_size=6788, st_atime=1321797957, st_mtime=1315094610, st_ctime=1315094610) >>> utime('readme.txt', None) >>> stat('readme.txt') nt.stat_result(st_mode=33206, st_ino=281474976762465, st_dev=0, st_nlink=1, st_uid=0, st_gid=0, st_size=6788, st_atime=1321950244, st_mtime=1321950244, st_ctime=1315094610) |
os.walk(top[, topdown=True[, onerror=None[, followlinks=False]]]) | |
top으로 지정된 디렉터리를 순회하며 경로, 디렉터리명을 순차적으로 반환합니다. | |
# 다음의 구조로 test_walk, a, b 디렉터리를 만들어 놓고 walk를 실행
>>> for path,dirs,files in walk('test_walk'): print(path, dirs, files)
test_walk ['a', 'b'] [] test_walk\a [] [] test_walk\b [] ['readme.txt']
# topdown이 False로 설정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디렉터리의 끝에서부터 위로 탐색 >>> for path,dirs,files in walk('test_walk', topdown=False): print(path, dirs, files)
test_walk\a [] [] test_walk\b [] ['readme.txt'] test_walk ['a', 'b'] [] |
os.umask(mask) | |
umask를 설정합니다. 수행하면 이전 mask 값이 반환됩니다. umask가 수행되면 이후 오픈 되는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mode & ~umask)와 같이 적용됩니다. |
os.pipe() | |
파이프를 생성합니다. 함수를 실행하면 읽기, 쓰기 전용 파이프의 파일 디스크립터가 반환됩니다.
(※ 파이프(pipe)란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공유 영역입니다. 여러 프로세스 간에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 만들어지는 공간이며, 하나의 프로세스가 정보를 쓰면 다른 프로세스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 |
>>> pipe() (3, 4) |
os.fdopen(fd[, mode[, bufsize]]) | |
파일 디스크립터를 이용해 파일 객체를 생성합니다.
(※ fdopen은 'from os import *'로 import가 안됩니다. fdopen의 경우 'from os import fdopen'으로 따로 import 해주어야 합니다) | |
>>> from os import * >>> from os import fdopen
>>> r,w = pipe() >>> rd = fdopen(r) >>> rd <_io.TextIOWrapper name=3 mode='r' encoding='cp949'> |
os.popen(command[, mode[, bufsize]]) | |
인자로 전달된 command를 수행하며 파이프를 엽니다. (파이썬3 에서는 Popen 클래스의 사용을 권장하지만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popen은 'from os import *'로 import가 안됩니다. popen의 경우 'from os import popen'으로 import하거나 import os 후 os.popen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 |
>>> from os import popen
>>> p = popen('dir', 'r') >>> p.read() ...<중략>... 2011-09-04 오전 09:51 26,624 python.exe\n 2011-09-04 오전 09:51 27,136 pythonw.exe\n 2011-11-22 오후 05:24 6,788 README.txt\n 2011-11-20 오후 11:06 <DIR> tcl\n 2011-11-20 오후 11:05 <DIR> Tools\n 2011-09-04 오전 09:51 49,664 w9xpopen.exe\n 6개 파일 396,879 바이트\n 9개 디렉터리 72,007,368,704 바이트 남음\n' |
os.name | |
파이썬이 실행되는 운영체제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ex: 'nt', 'posix', 'mac'등...) | |
>>> name 'nt' |
os.environ | |
환경변수들을 나타내는 사전입니다. | |
>>> environ environ({'TMP': 'C:\\DOCUME~1\\ADMINI~1\\LOCALS~1\\Temp', 'COMPUTERNAME': 'WIN2003', 'USERDOMAIN': 'WIN2003', 'COMMONPROGRAMFILES': 'C:\\Program Files\\Common Files', ...<중략>...}) >>> environ['OS'] 'Windows_NT' >>> environ['userprofile'] '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 |
os.getpid() | |
현재 프로세스 아이디를 반환합니다. | |
>>> getpid() 3380 |
os.getenv(varname[, value]) | |
환경 변수의 값을 얻어 옵니다. 다만 해당 환경 변수가 없을 경우에는 인자로 전달된 <value>값을 반환합니다. value가 생략되고 해당 환경 변수가 없으면 None을 반환 합니다. | |
>>> getenv('homepath') '\\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 >>> getenv('test', '') '' |
os.putenv(varname, value) | |
환경변수 <varname>을 <value>로 설정합니다. 자식 프로세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 |
>>> putenv('test', '\\tmp\\test')
# 자식 프로세스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putenv()의 결과 확인. >>> from os import popen >>> p = popen('''python -c "import os; print(os.getenv('test'))"''', 'r') >>> p.read() '\\tmp\\test\n' |
os.strerror(code) | |
에러 코드에 해당하는 에러 메시지를 보여줍니다. | |
>>> for i in range(0, 44): print (i, strerror(i))
0 No error 1 Operation not permitted 2 No such file or directory 3 No such process 4 Interrupted function call 5 Input/output error 6 No such device or address 7 Arg list too long 8 Exec format error 9 Bad file descriptor 10 No child processes ...<중략>... |
os.system(command) | |
<command>를 실행하며, 성공한 경우 0을 반환합니다. | |
[계산기 실행화면] |
os.startfile(path[, operation]) | |
<path>를 os에서 지정된 프로그램으로 실행합니다. 또한 <operation>으로 명시적으로 수행할 프로그램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starfile('LICENSE.txt')의 경우 system("Notepad LICENSE.txt')와 유사하지만 system()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이썬 프로그램의 실행이 잠시 멈추고 system()이 끝나길 기다리게 되고, startfile()은 멈추지 않고 계속 실행됩니다.) | |
os.execl(path, arg0, arg1, ...) os.execle(path, arg0, arg1, ..., env) os.execlp(file, arg0, arg1, ...) os.execlpe(file, arg0, arg1, ..., env) os.execv(path, args) os.execve(path, args, env) os.execvp(file, args) os.execvpe(file, args, env) | |
위의 함수는 현재 프로세스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수행시키며 리턴은 하지 않습니다. 인자에 따라 여러 가지 exec로 나뉘어지는데, 우선'l'이 붙은 것들은 입력인자들의 수가 정해져 있는 경우이고, 'v'가 붙은 것들은 args라는 튜플로 입력인자를 받습니다. 'e'가 붙은 경우는 환경변수 env를 받느냔 아니냐의 차이이며, 'p'는 환경변수의 path를 이용하는 경우입니다. | |
>>> execl('C:\\Python3\python', 'python', '-v') >>> execv('python', ('python', '-v')) >>> execle('C:\Python3\python', 'python', '-v', {"HOME":"C:\\"})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Script] Maria DB Table Sync 맞추기 (0) | 2017.02.13 |
---|---|
[Python] libmysqlclient.so.10 Error (2) | 2016.11.02 |
[Python] os.system / SCP 전송 (ssh 비밀번호 없이) (0) | 2016.10.25 |
[펌] [python] pass, continue 차이 (0) | 2016.03.08 |
[펌] [python] FTPlib (1) | 2016.03.08 |